[태그:] 그믐

  • 초닷새

    초닷새

    초닷새 초승달

    음력 10월 5일 초닷새 하늘에 떠 있는 초승달

    옛속담에 초승달은 부지런해야지만 볼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그 이유는 초승달이 뜨는시간이 늦은게 아니라 해뜨면서 거의 2-3시간 간격으로 동시에 달이 뜨다보니 하루종일 태양에 의해

    초승달이 보이지 않다가 해가 질 무렵 서쪽하늘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결국 겨울에 해가 6시전에 떨어지는데 달은 4~5시정도부터 보이기 시작하고 그 짧은 시간동안 서쪽하늘을 봐야지만 볼수 있으니

    옛속담처럼 부지런해야지만 초승달을 볼 수 있다.

    하루종일 비가 와서 구름이 잔득껴있는 하늘에서 달을 보는것 조차 어려운 일인데

    초닷새날에 이렇게 초승달을 볼수 있었다는것은 그야말로 행운이다.

     

     

    2020년 11월 19일 (음력 10월 5일) 초닷새 떠 있는 초승달!

    곧 보름이 다가온다. 반달 (상현달)도 곧 볼수 있을테니 밝은 달이 기다리는구나.

     

    옛숫자 세는 방법

    초하루, 초이틀, 초사흘, 초나흘, 초닷새, 초엿새, 초이레, 초여드레, 초아흐레, 초열흘

    열하루, 열이틀, 열사흘, 열나흘, 열닷새 (보름), 열엿새?, 열이레?, 열아흐레, 스무날,

    스무하루, 스무이틀, 스무사흘, 스무나흘, 스무닷새, 스무엿새, 스무이레, 스무여드레, 스무아흐레, 그믐

     

    국어사전 참고해가며 기록함

  • 음력 7월 28일 오늘의 달 모양 그믐이라서 안보인다

    음력 7월 28일 오늘의 달 모양 그믐이라서 안보인다

    7월 28일 달 모양은 왼쪽편이 보이는 초승달 모양이다

    하지만 그믐에 가깝다보니 달을 보기도 어렵고 새벽 5시가 되어야 볼 수 있다.

    그것도 아주 잠시 1시간정도 볼수 있지만 오늘은 구름까지 끼여있어 볼수 없었다.

    모두가 잔다고 아파트에는 불도 다 꺼져있고

    하늘은 온통 캄캄하다.

    곧 음력 8월 1일이 되면 다시 언제 그랬냐는듯 달은 오른쪽편이 밝은 초승달부터

    상현달(우리가 알고 있는 반달) 보름달 되고 재미있다.

     

     

    오늘은 어둠속에서 달을 찾았지만 오늘 내일 달 보기는 어렵다.

    내일은 그믐 7월 29일이라 달이 전혀없는 암흑의 밤이 된다.

     

    달이 빛나는 이유 다들 알고 있듯 태양을 반사한다고 알고 있을것이다.

    물론 나도 과학시간에 그렇게 배웠다.

    하지만 나는 달이 자체 빛을 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달의 온도를 측정해보면 신기한 일이 벌어지기때문에 한번 보름달

    날 훤히 잘 보일때 보름달이 비취는곳의 온도를 측정해보면 알수있다.

    다들 생각하기에 햇빛을 반사했으니 온도가 올라갈것이라 예상할것이다.

    하지만 이 생각은 직접 측정하는순간 사라지게된다.

     

     

     

     

    .